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늑대 복원이 통일에 기여?…환경부 "검토하겠다"

전문가 "비무장지대에 남북 공조로 늑대 복원하면 통일 가교·평화 의미 담을 수 있어"

(세종=뉴스1) 이은지 기자 | 2015-01-27 18:34 송고
늑대. © News1
늑대. © News1

박근혜 정부가 통일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나선 가운데 늑대가 남북 평화통일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을 담당하는 환경부에서도 이같은 주장에 설득력이 있다고 보고, 오는 3월부터 늑대 복원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을 논의한다고 28일 밝혔다. 

    

김종률 환경부 생물다양성과장은 "생태학자들이 생태계 회복을 위해 늑대나 표범, 호랑이 같은 최상위포식자의 복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3~4년전부터 주장해왔다"며 "평화의 상징적 의미를 담을 수 있는 늑대부터 복원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보는 포럼을 3월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늑대 복원을 주창하는 전문가들은 늑대가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로서 넘쳐나는 멧돼지나 고라니를 잡아먹어 생태계 회복을 이끌 수 있다고 본다. 현재 우리나라에 고라니는 30만마리, 멧돼지는 10만마리가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늑대는 활동반경이 300km에 이를 정도로 넓기 때문에 복원을 추진할 최적의 서식지로 비무장지대(DMZ)가 꼽힌다. 자연생태계가 오롯이 보존돼 있어 먹이가 풍부하고 사람들이 자주 드나들지 않아 늑대의 공격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무장지대에서 늑대 복원이 원활히 이뤄지려면 북한과의 공조가 필수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우리나라와 달리 북한에는 아직 늑대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늑대를 공수받을 있고, 늑대 복원을 위해 협의하는 과정 자체가 통일의 가교 역할을 하며, 평화의 상징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주장한다.

    

조도순 가톨릭대학 생명과학 교수는 "북한과 합의가 되지 않으면 북한이 늑대를 총으로 쏠 수도 있고 외교적인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다"며 "'남남북녀'의 의미를 담아 북한에서는 암컷을 내려 보내고, 남한에서는 수컷을 올려 보내 복원에 성공하면 늑대가 평화의 상징이자 통일의 가교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에서도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종을 택해 복원하는 것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늑대 복원에 대해 우선 검토하기로 했다. 김 과장은 "호랑이는 활동반경이 너무 넓어서 현실적으로 복원이 어렵고, 표범은 호랑이보다 크기나 활동반경은 적지만 번식력이 늑대에 비해 떨어진다"며 "개과에 속하는 늑대는 한 번에 여러 마리의 새끼를 낳아 번식력이 강하고, 생존력도 강해 복원에 유리한 종이다"고 말했다.

    

늑대가 사람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늑대 복원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이에 조 교수는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늑대 100마리를 복원하는데 성공했는데 사람을 해친 사례는 없다"며 "늑대는 조심성이 많고 주로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사람을 해칠 가능성이 크지 않다. 늑대의 활동반경을 충분히 고려해 사람의 접근을 차단하면 안전사고는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멸종위기 종복원사업은 환경부가 2002년 반달가슴곰 복원 시범사업을 펼치면서 시작됐다. 준비작업을 거쳐 1단계 멸종위기 복원계획을 2005년 수립,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추진해오고 있다. 반달가슴곰에 이어 산양, 여우복원 사업이 진행중이다.

    

환경부는 2016년부터 10년간 추진할 2단계 멸종위기 복원계획을 올해 수립하게 된다. 김 과장은 "늑대 종복원 여부를 포함해 최상위 포식자를 복원 대상에 포함할 지 검토할 것"이라며 "장기 계획인만큼 긴 안목으로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환경부가 반달가슴곰, 산양, 여우 등 멸종위기종 복원을 위해 지난 10년간 투입한 예산은 242억원이며, 올해 멸종위기종 복원에 책정된 예산은 58억원이다. 




lej@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