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유병언 사망' 둘러싼 온라인상 의혹제기 여전…결국 "불신"

"국가기관에 대한 국민 불신, 비극", "본질 흐리는 언론보도도 문제"
"단순 의혹, 생명력 가지고 계속 이어져, 사회적 혼란 야기"

(서울=뉴스1) 조재현 | 2014-08-01 16:21 송고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이 사망했다는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공식 발표에도 여전히 SNS를 비롯한 온라인 공간을 중심으로 의혹 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부실한 초동수사로 이같은 의혹을 자초한 경찰은 사태가 심각해지자 궁여지책으로 유 전회장 사망과 관련한 악의적이고 반복적인 게시글을 선별해 내사 착수하는 등 엄정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경찰은 '국과수가 발표한 유병언 엑스레이 상 손가락 사진은 모두 고의적인 사체 조작이다', '국과수 발표…남의 시체 주워다가 유병언 사체라고 우기고 있다', '엄한 사람 시체 갖다 놓고 범인을 은닉시키고 있는 국과수는 유병언과 공범이다', '국과수 발표는 모두 사체조작 바꿔치기 가능성이 농후하다' 등을 대표적인 허위사실의 예로 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이들은 '정부에 대한 불신'이 그 원인이라고 하나같이 입을 모은다.
황상민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는 "기본적으로 '정부를 더이상 믿고 싶지 않다'는 심리가 깔려 있는 것"이라고 현 상황을 설명했다.

황 교수는 "정부는 세월호 참사 이후 유 전회장을 '적'으로 규정했는데 대중들은 그 대상이 죽었다고 했을 때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음모'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수사기관에 대한 불신은 기본적으로 하기 힘들지만, 최근에는 경찰과 검찰, 국정원이 결국 정권의 꼭두각시, 하수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이미지를 줬다"며 "이는 국가적인 비극"이라고 지적했다.

권경우 문화사회연구소 소장도 "가장 큰 문제는 한국사회가 '신뢰'를 잃어버렸다는 것이다"라고 했다. 

권 소장은 "지난 대선 불거졌던 국정원 댓글 의혹, 서울시 간첩의혹 사건에서의 국정원 증거조작 등을 통해 국가기관인 경찰과 검찰, 국정원의 책임 있는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며 "이에 국가기관의 신뢰가 점차 떨어지다 보니 공식발표를 하더라도 의혹 제기가 계속되는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언론의 역할과 행태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황 교수는 "대중들은 권력기관을 향해 싫은 감정과 별개로 사실에 대해서는 믿음을 가질 수 있다"며 "그러나 최근 대선 댓글 의혹과 세월호 사태 등에서 언론이 사실을 알려주지 못하다 보니 정권에 대한 정당성을 인정하기 싫어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권 소장은 "언론매체의 홍수 속에 언론보도 방향이 본질보다는 가십성에 치우치는 경향이 많아졌다"며 "결국 이를 접하는 대중들의 판단력도 흐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권 소장은 "우리 사회 20~30대는 물론 40대 초반의 연령층은 소위 미국 과학수사대의 활약상을 담은 'CSI 드라마'세대로도 볼 수 있다"며 " 즉 경찰 발표를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상황 스토리로 이해한다. 이에 앞뒤 사건의 인과관계가 틀리면 허술한 측면을 짚고 넘어간다"고 했다. 그러한 성향이 곧 온라인 공간의 의혹 관련 게시물 등으로 이어진다는 게 권 소장의 주장이다.

전문가들은 계속되는 의혹은 결국 심각한 사회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익명성'을 무기로 하는 누리꾼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황 교수는 유언비어가 긴 생명력을 갖고 유지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그는 "온라인상에서 온갖 유언비어가 만들어지더라도 현실에서 '아니다'는 증명이 되면 유언비어는 사라진다"며 "단순 의혹 제기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그것이 생명력을 가지고 꾸준히 제기되는 것이 심각한 사회 문제"라고 우려했다.

권 소장도 "국가기관에 대한 신뢰회복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런 큰 사건이 터질 때마다 사회혼란은 자꾸 발생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터무니 없는 의혹 확산을 막기 위해 경찰 수뇌부 회의까지 개최했던 경찰은 의혹에 대해서도 다각적으로 확인해 유 전회장 사망과 관련, 한점 의혹이 없도록 수사를 진행한다는 입장을 내놓기는 했다. 


cho84@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