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단독]‘박원순 창조경제’ 전초기지 만든다…서울디지털재단 설립

디지털 정책 총괄할 싱크탱크…창조경제 추진, 우버·에어비앤비 등 신종산업 대응

(서울=뉴스1) 차윤주 | 2014-08-01 13:47 송고 | 2014-08-01 13:59 최종수정
박원순 서울시장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창신동에서 열린 창신숭인 도시재생지원센터 개소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4.7.29/뉴스1
서울시가 박원순 시장이 구상 중인 ‘서울형 창조경제’의 전초기지가 될 ‘서울디지털재단’을 설립한다.

디지털·IT(정보기술) 산업 정책을 총괄할 별도의 출연 기관을 만들어 서울의 성장동력을 찾는 역할을 맡기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디지털 정책의 싱크탱크 역할을 할 ‘서울디지털재단’을 설립하기 위해 다음달부터 타당성 조사 등 관련 절차에 착수한다고 3일 밝혔다. 

내년 상반기 중 타당성 조사가 끝나면 하반기에 조례 제정, 인력 확보 등 행정절차를 거쳐 내년 연말 재단을 출범시킬 계획이다.

서울디지털재단은 디지털 산업을 육성할 새 아이템과 기술에 대한 발굴과 지원, 디지털 창업 생태계 조성 사업을 전담한다. 

구체적으로  박 시장이 지난 선거에서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던 강남구 개포동 개포외국인학교에 ‘개포 모바일 융합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을 재단의 몫으로 배정했다.

재단은 서울시가 당면한 문제를 디지털 기술로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시정 전략과 로드맵을 수립하는 컨트롤 타워도 맡게 된다.

서울시는 정부 기관 중 처음으로 외부 IT전문가를 영입하는 정보화책임관(CIO) 제도를 도입했지만 인천시가 2002년를 시작으로 부산·광주·대구·강원도 등이 정보산업진흥원을 세운 것과 달리 IT산업과 관련한 출연기관이 없었다.

CIO가 시 내부 조직인 정보화기획단을 진두지휘 했지만 최근 등장한  ‘우버’나 ‘에어비앤비’ 처럼 IT를 결합한 신종 서비스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엔 역부족이란 지적이 있었다.

재단 사무실은 내년 준공 예정인 상암동 IT 컴플렉스(복합단지) 내 공간을 활용하기로 했다.

설립 초기 출연금은 재정을 투입하지만 운영 예산은 지원을 최소화하고 가급적 민간자원을 활용해 자생력을 키울 방침이다. 

박 시장은 지난달 10일 취임식에서 “민선6기 서울의 성장 동력은 ‘서울형 창조경제’”라고 제시한 바 있다. 그는 “신촌·홍대·합정 밸리, 상암DMC, 동대문 창조경제클러스터, 구로G밸리, 개포ICT 등 5대 창조경제 거점과, 마곡, 창동·상계, 홍릉의 3대 지식기반 허브는 성장의 든든한 뿌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6월 10일 재선 후 첫 기자간담회에선 “박근혜 대통령이 창조경제를 썼다고 해서 서울시에서 쓰지 말란 법이 없다. 사실 창조경제는 내가 먼저 쓴 말”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서울시가 출연한 기관은 매년 200억원 가량을 지원하는 세종문화회관을 비롯해 서울신용보증재단, 서울문화재단, 서울디자인재단, 서울여성가족재단, 서울산업진흥원(SBA), 서울의료원, 서울연구원, 서울시립교향악단 등 12개가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재단을 설립하려면 자본금의 10% 이상을 출연해야 하는데 가장 최근 설립한 것은 오세훈 전임 시장 시절인 2009년 서울장학재단으로 박 시장 임기 중 만든 출연기관은 없다.

서울디지털재단은 현재 설립 논의가 한창인 ‘서울영상진흥재단(가칭)’과 함께 ‘박원순 1호 출연기관’ 타이틀을 다툴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서울시 산하엔 SH공사,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시설관리공단, 서울농수산식품공사 등 6개 공기업(투자기관)이 있다.


chacha@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