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日원전 연결부도 못 얼리는 '동토차수벽'…실효성 '비관적'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2014-07-06 08:46 송고
10일 한 후쿠시마 원전 근로자가 오염수 저장탱크를 바라보고 있다. © AFP=뉴스1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오염수의 누출을 막기 위해 6월 착공에 들어간 '동토차수벽'(凍土遮水壁)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론이 다시 힘을 얻고 있다고 교도통신이 6일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본격 차수벽 설치에 앞서 시작된 원전 건물과 트렌치(전원 케이블 등이 설치된 지하 갱도)의 연결부를 얼리는 '얼음벽'이 실제 아무런 구실을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4월말 2호기 연결부 동결작업에 들어갔으나 2개월이상 흐른 현재에도 바닥 부근을 제외한 대부분이 얼지않아 오염수가 그대로 트렌치로 흘러들고 일부는 해양으로 유출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6월부터 본격 설치에 들어간 동토차수벽 자체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동토차수벽 설치는 지하수가 원전 건물로 유입돼 방사능 오염수와 섞이는 것을 막으려고 원전 1∼4호기 원자로 주위에 동결관을 박은 다음 냉각재를 투입해 주변 땅을 얼려 만든 얼음 흙벽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일본 원자력 규제위원회는 5월 동토차수벽을 설치하는 방안을 최종 승인했고, 이에 도쿄전력은 지난달 초 설치 작업을 시작했다.

구체적으론 원자로를 에워싸듯 지하에 약 30m 길이의 동결관을 1m 간격으로 박고 그 안에 영하 30도의 냉각제를 투입해 얼음 흙벽 만들기를 시도한 것이다.

하지만 현재 이 같은 토양 동결기술 자체의 신뢰성이 의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착공이 시작된 동토차수벽에서 실제로 얼음벽이 만들어졌는지가 미지수라는 것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동토차수벽 설치에 대한 비용 대비 효과에 대한 의구심을 오래 전부터 제기했다. 기술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공상과학 같은 이야기에 불과하며, 이러한 차수벽을 설치한 전례도 없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자민당 내 ‘후쿠시마 원전사고 규명 소위원회'는 지난해 9월 일본 정부에 제1원전 오염수 대책으로 제시한 동토차수벽 건설 재고를 요구했다. 막대한 전력과 5000억원의 비용이 장기간에 걸쳐 들어가는 등 비용 대비 효과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면서 콘크리트벽을 건설할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었다.

그럼에도 동토차수벽 설치는 이론을 입증하는 실험을 거친 후 진행이 결정됐다. 핵연료가 녹아 심하게 훼손된 원자로 건물 내부에 지하수가 유입돼 매일 오염수가 400톤가량 늘어나는 상황 속에 뾰족한 다른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도쿄전력은 특히 2, 3호기로 연결되는 트렌치 내 고농도 오염수 총 1만1000톤이 바다로 유출됐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도쿄전력은 동결관과 냉각제를 넣은 나일론제 자루를 트렌치 연결부에 배치해 이곳을 통과하는 오염수를 얼려 원전 건물과 차단한 후 트렌치 내 오염수를 먼저 제거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도쿄전력은 지난 4월 말 2호기에서 먼저 트렌치 연결부의 오염수 동결 작업을 개시했다. 이 작업은 당초 1개월 내 완성할 예정이었지만, 2개월 이상 경과했음에도 자루의 바닥 부분 외엔 전혀 동결이 되지 않았다는 진단이 나왔다.

도쿄전력은 당시 "물이 정지된 상태가 아니라 흐르는 상태여서 주변의 물 온도가 내려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동결관을 2개 추가해 물의 흐름을 억제했음에도 동결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때문에 1~4호기 주변 약 1.5km 토양 전체를 얼리겠다는 동토차수벽에 대해서도 실현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게 됐다.

도쿄전력은 이 같은 우려에 대해 "동토차수벽 설치는 흐르는 오염수가 아니라 주변의 땅 자체를 얼리는 것이기 때문에 공법이 다르다"라며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원자력규제위원회의 후케타 도요시(更田豊志) 위원은 지난달 모임에서 "(트렌치에 있는 오염수는) 바다로 유출되면 환경오염으로 직결돼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acenes@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