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세월호 유언비어 정부와 언론이 자초해"

"정부·언론 불신으로 SNS·인터넷에서 유언비어 양산"
김석호 교수 "사회통합적 공론장 없어 정보가 양극단 치달아"

(서울=뉴스1) 최동순 기자 | 2014-04-23 06:21 송고

세월호 침몰사고 8일째를 맞고 있는 23일, 경찰의 엄정 대응 방침에도 사고 관련 유언비어가 끊이지 않으며 사고 희생자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에게 상처를 주고 있다.

경찰청은 지난 18일 세월호 침몰과 관련, 인터넷과 SNS를 통해 세월호 사고나 구조작업과 관련한 유언비어를 올리거고 배포할 경우 법에 따라 엄정 대응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발표 이후에도 유언비어는 사라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 소문의 확산은 진위여부와 무관…나쁜 소문일 수록 빨려 퍼져

전중환 경희대 진화심리학교수는 세월호 침몰사고에 관한 유언비어가 끊임없이 생성·유포되는 것에 대해 "소문은 그것이 확실한 정보인지 확실하지 않은 정보인 지와 관계 없이 나쁜 소문일수록 더 빨리 확산된다"고 말했다.
정보의 진위여부와는 관계없이 위협이 될 것이라 여겨지는 정보를 빠르게 남들에게 전파하는 것은 생존과 번식을 위해 인간이 습득한 본성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세월호 침몰 사고는 사람들의 감정선에 큰 충격을 주는 사고였다"면서 "뉴스를 통해 소식을 접한 사람들이라도 마치 자신의 일인 것처럼 사고를 바라보게 돼 나쁜 소문에는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전달하게 된다"고 말했다.


△ 정부와 언론에 대한 불신이 유언비어 확산에 한몫

김석호 성균관대 사회학과교수는 세월호 침몰사고와 관련해 정부와 언론이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한 것이 유언비어 확산에 기여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시민들이 정부와 언론을 불신해 인터넷과 SNS라는 제 3의 채널을 찾고 그곳에서 정보를 얻으려 한다"면서 "그곳에서 시민들이 유언비어에 마음을 빼앗겨 버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제 3 채널'을 찾은 이들은 정부에 대한 불신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 정부적' 유언비어에도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실제로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한 유언비어들은 대다수가 정부에 대한 불신을 담고 있었다.

20일 경찰에 검거된 홍가혜(26)씨는 한 종편방송사와의 인터뷰에서 "배 안에 사람이 있는 것을 확인했음에도 정부관계자가 잠수하지 못하게 했다"는 내용의 허위사실을 유포했다.

또 22일 검거된 김모(31)씨는 자신 명의의 휴대전화 2대를 이용해 "배 안에 시신이 말도 못하게 많으나 정부 관계자가 방해해 시신 수습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내용의 자문자답을 한 뒤 대화 내용을 사진으로 찍어 퍼뜨렸다.

그 밖에도 '세월호, 미군 잠수함과의 충돌설', '한미연합해상훈련으로 인한 세월호 항로 변경설' 등 대다수의 유언비어는 정부 발표와 이를 그대로 전하는 언론에 대한 불신을 전제로 깔고 있다.

불신의 직접적인 원인은 세월호 침몰과 관련한 정부의 미진한 초동대처였다. 정부는 사고 이후 탑승 승객수와 실종자 및 사망자 명단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언론은 속보에 치중한 나머지 '단원고등학교 학생 전원 구조'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 결정적 오보를 했다.

답답한 실종자 가족들의 마음에 비해 세월호 침몰 사고현장의 구조작업은 지지부진했고 이에 대한 충분한 해명도 이뤄지지 않았다.


△ SNS와 인터넷은 유언비어에 취약…언론이 제 역할 찾아야

김교수는 특히 SNS와 인터넷 공간이 유언비어가 양산되기 적절한 환경이라고 분석했다.

SNS와 인터넷은 수용자들이 개별적인 검색을 통해 참여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비슷한 의견을 가진 이들끼리 정보를 공유하기 쉽지만 제대로된 검증은 이뤄지기 어렵기때문이다.

김 교수는 "SNS 등 인터넷 공간에는 정보가 너무 많아 일종의 카오스 상태가 형성된다"면서 "정보에 대한 종합적 판단 보다는 '나는 이것만 믿겠다'는 식의 극단적 태도가 나타나기도 한다"고 지적한다.

김 교수는 이런 종류의 유언비어를 막기 위해서는 언론이 '사회통합적 기능'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속보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세월호 침몰사고로 인해 사회가 분열되지 않도록 통합하는 기능을 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단순히 속보를 위해 혹은 자기 언론사의 입맛에 맞게 정부를 비판 혹은 옹호하려는 목적으로 이번 사고를 취재한다면, 그것은 희생자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을 회사를 위해 이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개인적으론 이번 사고의 희생자들이 주로 청소년들이라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세대 갈등 및 계층간 분열로까지 전이될 수 있다고 본다"면서 "언론이 사회통합적 기능을 회복해 제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dosool@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